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찾아본다! ‘디지털집현전’ 대국민 서비스 개시
공공기관 105개 사이트의 논문, 보고서 등 2.4억건 통합 검색
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찾아본다! ‘디지털집현전’ 대국민 서비스 개시
복지코리아 | fmebsnews
공공기관 105개 사이트의 논문, 보고서 등 2.4억건 통합 검색
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찾아본다! ‘디지털집현전’ 대국민 서비스 개시
- 공공기관 105개 사이트의 논문, 보고서 등 2.4억건 통합 검색 -
이제 각 공공기관 별로 흩어져 있는 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쉽고 편리하게 검색·활용할 수 있게 된다.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이종호, 이하 ‘과기정통부’)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(원장 황종성)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양질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‘디지털집현전’(https://k-knowledge.kr) 대국민 서비스를 1월 22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.
사진 설명: 디지털집현전 누리집 갈무리화면
현재 여러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에서 각종 논문과 분야별 보고서 등 수준 높은 지식정보들을 생산·개방하고 있으나, 기관마다 별도의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. 이에 따라, 과기정통부는 국민 누구나 쉽고 편하게 지식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통합플랫폼(“디지털집현전”)을 구축하게 됐다.
디지털집현전은 과학기술·교육·문화·행정·사회경제 분야에서 국회·법원·출연연구원 등 105개 공공사이트 2.4억건의 지식정보(메타데이터, ‘24.1월 기준)를 연계하여 통합검색을 제공하며,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형 추천검색도 지원한다. 이를 위해, 누적된 데이터로 추천 모델을 재학습해 추천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. 네이버와 구글 등 민간 포털에서 디지털집현전의 지식정보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검색엔진도 최적화했다. 또한, 정보통신 접근성 인증 획득 및 수어서비스 제공을 통해 장애인·고령자를 포함한 정보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였다.
또한, 검색서비스와는 별도로 기업이나 개인이 국가지식정보를 활용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희망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집현전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. (디지털집현전 내 ‘데이터 개방 신청’)
< 디지털집현전 메인 화면 및 검색 결과 >
|
|
한편, 과기정통부는 서비스 개시에 맞춰 디지털집현전을 통해 검색미션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한다(디지털집현전 메인 화면 참조). 아울러, 주요 기관 홈페이지, 유튜브, 서울역 광고판 등을 이용해 보다 많은 국민이 디지털집현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.
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“디지털집현전을 통해 국민들이 양질의 지식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의견수렴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, 연계 사이트 확대를 통해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으로서 대국민 만족도를 높여나가도록 하겠다”고 밝혔다.
fmebsnews fmebsnews@fmebs.com
<저작권자 © 복지코리아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