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제는 순환경쟁력의 시대! 「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」개최
삼성전자, LG화학, 포스코, SK지오센트릭 등 선도기업 순환경제 전략 발표
이제는 순환경쟁력의 시대! 「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」개최
복지코리아 | fmebsnews
삼성전자, LG화학, 포스코, SK지오센트릭 등 선도기업 순환경제 전략 발표
이제는 순환경쟁력의 시대! 「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」개최
- 삼성전자, LG화학, 포스코, SK지오센트릭 등 선도기업 순환경제 전략 발표 -
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이창양, 이하 산업부)는 코엑스에서「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」(12.22.(목) ∼ 12.23(금), 2일간)을 개최했다.
순환경제는 원료-생산-사용-재자원화 등 제품 순환 전 과정에서 자원의 이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로, EU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신경쟁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.
동 행사는 우리나라 순환경제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우수기술과 제품을 널리 알리고, 미래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로서 개최됐다.
이 날 행사에는 SK이노베이션, 희성피엠텍 등 총 64개 기관·기업(107개 부스)이 참가한 순환경제 전시를 비롯해, 순환경제 분야 유공자에 대한 산업부장관 포상, 전문가 기술 교류를 위한 컨퍼런스, 신사업 공모전 시상식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됐다.
< 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 개요 >
▶ (일시·장소) ‘22.12.22(목) ~ 12.23일(금) 10:00~17:00 /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 ▶ (주최/주관) 산업통상자원부 /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산업지능화협회 ▶ (주요 프로그램) 순환경제 전시관, 정부포상, 컨퍼런스, 공모전 시상 ▶ (전시관 구성) 재제조, 재자원화, 친환경소재, 생태산업개발 - 전시 규모 : 64개 기업(기관) · 107개 부스 ▶ (참석자) 순환경제 관련 산업계, 공공기관, 학계 및 일반국민 |
12월 22일(목) 오후 14시에 코엑스 1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개막식에는 진종욱 산업부 실장을 비롯해,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낙규 원장,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부회장 등 유관기관 주요 인사를 포함 총 300여명이 참석했다.
개막행사에 이어서 순환경제 산업 발전에 기여한 산업기술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정부포상(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)을 수여했다.
사진설명: 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, 건설기계 엔진 재제조 제품
▶재제조 건설기계 기술개발 및 보급을 통해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김포서비스{상용 자동차 디젤엔진, 발전기 등 재제조 기술개발 및 보급, (최병식 대표)}▶재자원화 촉매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 토리컴{(이원춘 대표) 폐촉매 소재화를 위한 금속 열처리 및 가공 기술 개발·상용화}등 총 5개 단체가 수상했다.
또한, ▶재자원화 분야 대·중소 상생협력 정책 기획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경환 연구원 ▶청정생산 공정 확산을 위한 설비 개선·기술 개발에 기여한 ㈜일흥 김석열 등 총 6명이 수상했다.
재제조, 재자원화, 친환경소재, 생태산업개발 등으로 구성된 전시관에는 순환경제를 선도하는 우수기술·제품을 소개했다.
<순환경제 전시관 주요내용>
▶(재제조) 자동차, 건설기계, 전기전자 분야별 우수 재제조 제품 및 기술 전시(15개사) ▶ (재자원화) 금속, 플라스틱, 배터리 등 재자원화 제품 및 공정 전시(27개사) ▶ (친환경소재) 친환경소재로 만든 목재 플라스틱, 바이오매스 플라스틱, 종이컵, 가방 등 제품 전시(5개사) ▶ (생태산업개발) 산업단지별 폐자원 재자원화·에너지화 우수기술(3개사) |
재제조 전시구역에는 다 쓴 제품을 회수해 완전 분해하고 세척·복원 등의 과정을 거쳐 새 제품과 같은 품질로 재탄생한 재제조엔진, 재제조토너카트리지 등을 전시했다.
재자원화 전시구역에는 폐배터리, 폐휴대폰 등 폐자원을 파·분쇄한 후 유용한 자원을 회수·고순도화하여 다시 자원화한 백금, 알루미늄 등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해 생산한 에어캡 등 다양한 순환제품을 전시했다.
친환경소재 전시구역에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만든 화분, 음료컵 등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과 책, 가죽 등을 재활용하여 만든 다이어리, 지갑 등 일상 속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을 전시했다.
생태산업개발 전시구역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공정부산물이나 공정 폐열 등을 기업 또는 지역사회 간 원료 또는 에너지로 재자원화하여 교환 사용하는 우수사례를 전시했다.
이와 함께 순환경제 정책관이 마련되어 순환경제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 대상 정부 지원 내역(신비즈니스 실증화 지원, 해외 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, 기업 맟춤형 레벨업 지원 등 확인할 수 있었으며, 상생라운지관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소통하며 신사업모델을 공유하기도 했다.
순환경제 컨퍼런스, 신사업 공모전 시상식 등 부대행사도 개최됐다.
순환경제 컨퍼런스에서는 산·학·연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글로벌 선도기업(발표기업 : 삼성전자, LG화학, 포스코, 롯데케미칼, 아모레퍼시픽, SK지오센트릭 등의 순환경제 발전 전략과 비전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했다.
순환경제 신사업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신사업 모델{(사업모델 대상) 폐비닐을 활용한 매트리스 재생 필름 생산·공급 모델(한샘-제이엠이앤씨)} 11개(기업)와 아이디어{(아이디어 대상) 순환경제 정의를 노래로 표현한 영상} 5개(개인)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개최했다.
fmebsnews fmebsnews@fmebs.com
<저작권자 © 복지코리아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