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남 서부권 남강댐, 강우량 부족으로 긴축운영 시행

댐 하류 영농상황 및 농업용수 실사용량 고려, 필요한 수량만 공급

[ 기사위치 경제/사회 ]
글자크기 +
글자크기 -

경남 서부권 남강댐, 강우량 부족으로 긴축운영 시행

복지코리아 | fmebsnews

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


댐 하류 영농상황 및 농업용수 실사용량 고려, 필요한 수량만 공급

경남 서부권 남강댐, 강우량 부족으로 긴축운영 시행


- 댐 하류 영농상황 및 농업용수 실사용량 고려, 필요한 수량만 공급 -


환경부는 남부 지방의 강우량 부족이 계속됨에 따라 경남 서부권(진주시, 사천시, 하동군 등)의 생활·공업·농업 용수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남강댐(다목적댐)의 가뭄대응을 위한 용수비축을 7월 15일 오후부터 시행했다고 밝혔다.



사진설명: 남강 본댐


환경부는 이날 오후 관계기관(낙동강유역환경청, 낙동강홍수통제소, 지자체, 한국수자원공사, 한국농어촌공사 및 민간전문가 등) 합동 ‘낙동강수계 댐·보 등 연계운영협의회’ 심의 및 의결을 거쳐 남강댐의 용수 긴축 운영을 결정했다.


이에 따라 환경부는 남강댐 하류의 농업용수를 필요한 수량만큼 탄력적으로 공급하면서 하천 수위 및 농업용수 취수 상황을 수시로 살피고, 영농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할 예정이다.


남강댐 농업용수 공급은 이달에 초당 20m3 감량(월배분량 25m3/s → 5m3/s)하고, 8월에는 21m3/s 감량(월배분량 26m3/s → 5m3/s), 9월에는 9.8m3/s 감량(월배분량 11.3m3/s → 1.5m3/s)할 계획이다.


이렇게 남강댐에서 댐 하류로 보내는 수량을 줄이게 되면 낙동강 본류로 유입되는 수량도 일부 줄어들 전망이다.



사진설명: 가화천 제수문


남강댐은 댐 저수용량에 비해서 유역면적이 넓어 저수량의 변화가 많은 댐이다.


환경부는 다른 다목적댐과 달리 가뭄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곳 댐에서 용수를 취수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시적으로 댐 수위, 유입량, 수질 등을 관측하며 가뭄에 대응하고 있다.


올해 1월 1일부터 7월 14일까지 남강댐 유역의 총 강우량은 326mm로 예년 평균 강우량의 44% 수준이다. 특히 올해 홍수기(6월 21일~9월 20일) 이후 남강댐 유역 강우량은 105mm로 예년의 38% 수준을 기록했다.



fmebsnews  fmebsnews@fmebs.com

<저작권자 © 복지코리아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