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기능식품, 알고 먹는 만큼 내 몸에 이득!
건강기능식품, 알고 먹는 만큼 내 몸에 이득!
복지코리아 | fmebsnews
건강기능식품, 알고 먹는 만큼 내 몸에 이득!
식의약 바로알기⑨ 구매요령 및 섭취 시 주의사항 안내

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김강립)는 지난해 11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,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기능식품(이하 ‘건기식‘) 소비자 인식도 조사에서 응답자 중 68.9%가 “건기식을 구입해 섭취 중”이라고 답했다.
소비자들이 건기식을 구입한 경험(구입경험: (2012) 50.2% → (2017) 60.6% → (2018) 63.6% → (2019) 67.6% → (2020) 68.9%)은 2012년 50.2%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.
- 국내 건기식 매출액(매출액(억 원): (2012) 14,091 → (2017) 22,374 → (2018) 25,221 → (2019) 29,508) 역시 2012년 1조 4,091억 원에서 2019년 약 3조원 규모로 7년 새 2배가량 증가(생산 상위품목(1~5위): 홍삼 〉헛개나무추출물 등 개별인정형 제품 〉프로바이오틱스 〉비타민 및 무기질 〉EPA 및 DHA함유유지)했다.
이번 소비자 인식도 조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건기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건기식 이용 실태, 인지도 등을 측정해 홍보·교육사업 및 정책 개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했다. 건강기능식품 구매요령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건기식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응답자 70.9%는 “일반 식품과 차이를 알고 있다”, 74.9%는 “건기식 인증 도안(인증도안 인지도: (2017) 59.3% → (2018) 64.8% → (2019) 69.9%)을 알고 있다”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.
식약처가 인증한 "건기식은 ‘건강기능식품’이라는 문구와 도안, 우수제조기준(GMP) 인증 도안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므로 확인 후 구매하시기 바란다"고 밝혔다.
건기식 구입 동기는 지인 추천(33.7%), 인터넷 광고(24.4%), 기타(24.1%), 홈쇼핑 광고(11.2%) 순으로 나타났지만 과대광고를 통해 구입한 경험이 10.7%에 달해 주의가 필요하다.
건기식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‘의약품’이 아니므로 고혈압, 당뇨, 관절염 등 질병을 예방·치료 할 수 있다는 허위·과대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건강기능식품 섭취요령은건기식 섭취 개수는 2~3가지(57.8%), 1가지(23.9%), 4~5가지(12.9%)로 나타났다. 건기식은 안전성이 확보된 원료를 사용해 안전하게 제조된 식품이지만, 같은 기능성을 가진 제품을 여러 개 많이 먹는다고 기능성이 커지는 것이 아니므로 제품에서 정하고 있는 일일섭취량에 맞게 섭취하는 것이 좋다.
제품에 표시된 일일섭취량을 확인하고 여러 개를 섭취할 경우 성분과 기능성이 중복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. 건강기능식품 섭취 시 주의사항으로 ‘건강기능식품 이상사례 신고센터’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국민은 19.6%로 나타났다.
식약처는 건기식을 섭취한 후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‘건강기능식품 이상사례 신고센터’를 운영하고 있으며, 이상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섭취를 중단하고 의사와 상담해야 하며, ‘신고센터(1577-2488)’ 또는 ‘식품안전나라 누리집’을 통해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의약품과 병용 섭취 시 주의사항은 질병으로 병원 치료를 받거나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 의사·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한 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인삼제품은 면역억제제와 함께 섭취하면 약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수술 전이나 항응고제를 복용할 때 인삼을 섭취해서는 안된다. 또한 프로바이오틱스제품은 항생제와 섭취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.
다음으로 EPA 및 DHA함유제품은 아스피린과 같은 항응고제와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.
아울러 밀크씨슬제품은 간 건강에 도움을 주지만 의약품과 함께 섭취하면 의약품의 분해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.
의약품과 함께 섭취할 때 주의가 필요한 원료의 자세한 정보는 식품안전나라 누리집(www.foodsafetykorea.go.kr) ‘식품·안전‘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식약처는 “앞으로도 국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을 위해 건강 기능식품의 올바른 섭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밝혔다.
fmebsnews
<저작권자 © 복지코리아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